다매체다채널화에 따라 실시간 콘텐츠인 스포츠 이벤트가 방송 콘텐츠의 주요 무기로 떠올랐다. 국내 프로 스포츠는 물론 한국 선수들의 해외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외국 프로 리그 경기들이 실시간으로 국내 안방에 제공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 이면에 '중계권'이 놓여 있다.

현재 SBS의 벤쿠버 동계올림픽 독점 중계를 놓고 방송3사가 설전을 벌이고 있다. 보도자료 형식의 언론 뒷막을 이용한 설전이 아니라 자사 뉴스에서 공개적으로 질타하고 방어하는 형국이 벌어지고 있다. 참 눈꼴 시린 장면이 아닐 수 없다.

'국민의 알권리'를 운운하는 공영방송사의 입장이란 게 기존의 기득권을 지키겠노라는 떼쓰기로 보일 뿐이다. 민명방송사의 제 갈 길 가겠다는 식의 대응은 내 욕심 내가 채우겠다는 식으로 비친다. 중계권료 인상에 따른 국부 유출이나 외화 유출이란 비난도 그리 큰 무기는 아닌 듯하다. 어차피 방송업자들이 제 욕심 채우겠다는 식으로 싸워온 결과이니 말이다.

2공영 1민영 체제 하에서 두 공영방송이 하나의 민영방송을 둘러싸고 맹공을 펼치는 꼴이다. 맹공을 펼치든 말든 민영방송사는 '제 갈 길 간다'는 식으로 모르쇠다. 시청자의 입장에서 난 어느 방송사가 중계를 하든 크게 상관하지 않는다. 단, 모든 방송사가 오로지 올림픽 중계에만 몰두하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만 시청자의 불편을 들먹일 수 있단 이야기는 할 수 있겠다.

나? 스포츠 이벤트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 나로서는 SBS의 독점 중계가 오히려 반가울 뿐이다. 그렇다고 마냥 좋아할 수만은 없다. 중계권에서 물 먹은 두 방송사가 '동계올림픽'이란 특정 아이템을 더 발악적으로 팔아먹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내 선택권이 줄어든 건 아니다. 난 언제든지 케이블로 채널을 돌릴 준비가 돼 있다. 내 손에 쥐어진 리모컨으로...

더 재밌는 꼴은 지금부터이다. 어차피 동계올림픽은 기정화된 사실이고, 중계권이 없는 양 방송사가 어떤 방송물로 시청자들의 눈을 끌려 할지... 민영방송사야 그냥 차치하더라도, 공영방송사가 공영이란 이름에 걸맞게 행동하느냐의 시험대가 이번 동계올림픽 기간 동안 펼쳐진 셈이다.




Posted by 망명객
김인규 씨의 KBS 사장 선정과 백분토론 손석희의 마지막 방송, 극명히 대립되는 이 두 그림이 21세기 초 이명박 정부 시절 한국 방송계의 상징이 될 것이다. 후대 언론사가와 방송사가는, 공영론의 퇴조와 산업론의 득세, 정치적 연고에 의한 언론계의 자정능력 상실을 꼬집으며, 2009년을 평가할 것이다.

부끄러운 계절이다.


Posted by 망명객





  • 금일 KBS 9시 뉴스, 베이징올림픽 박태환 우승 관련 꼭지 중 적어도 3꼭지 이상은 이미 KBS스페셜에서 다루었던 화면과 내용을 짜집기한 것에 불과함. 중국 현지까지 가서 겨우 기사 써내는 게 이정도. 거저 먹는 기사라고 봄.(KBS9시뉴스 거저먹는기사)2008-08-10 22:28:28


이 글은 망명객님의 2008년 8월 10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Posted by 망명객

이 글은 망명객님의 2008년 8월 8일의 미투데이 내용입니다.

Posted by 망명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