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은 아버지 홍판서 앞에서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현실에 대해 울부짖었다. 이는 조선시대의 적서 차별제가 신파의 한 장면으로 각색된 대목이다. 조선시대의 적서 차별제와 반상 계급제가 철폐되었다는 현대에도 엄연히 계급은 존재한다. 계급이란 말이 레디컬하다면 조금 순화해서 계층이라 부르도록 하자. 

계급과 마찬가지로 계층도 위계질서에 따라 갖추게 되는 문화자본이 다르다. 조선시대의 홍길동이 호부호형을 못한 것처럼, 계층에 따라서 호명되는 내용이 달리 나타나곤 한다. 호칭과 관련해서 가장 무난한 호칭은 누가 뭐래도 '선생님' 아니겠는가.

한창 벌어지고 있는 역사 교과서 논란에 전경련이 양 팔 걷고 나섰다. 대기업 집단의 부정적 측면을 부각하는 '재벌'이나 '문어발'이라는 용어가 교과서 서술에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다(관련기사). 한 술 더 떠, 아예 학교장과 방송작가들에게 경제교육까지 시키겠다고 나섰다. 현재 군 장성과 일선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장경제 교육을 확대하기로 한 것이다(관련기사).

고등학교에서 배운 경제 상식으로는 경제의 3주체는 국가와 기업 그리고 가계다. 전경련은 3주체 중 기업을 대표하는 이익단체. 이익단체인 만큼 자신들의 입장을 주장할 수는 있지만, 현 상황이 너무 일방적으로 기업주체가 독주하고 있는 형국이라 걱정스러울 뿐이다. 기업의 독주는 국가가 견제해야 하지만 지금은 오히려 국가가 기업의 독주를 독려하고 있는 판이 아닌가.

'재벌'은 엄연히 두산백과사전에 등재된 경제용어다(두산도 재벌로 분류된다). 사전에는 일종의 콘체른으로 '거대 자본을 가진 동족으로 이루어진 혈연체 기업체군'을 재벌이라 부른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는 위키피디아에도 'jaebeol'이란 단어로 등재돼 있다. 하물며 jaebeol이란 단어가 언급된 학술자료도 넘쳐난다. 영자신문들은 말 할 것도 없다. 세계에 널리 통용되고 있는 몇 안 되는 국산 전문용어 중 하나가 바로 재벌이다. 한국경제의 특성을 설명할 때 뺄 수 없는 핵심적인 단어가 되어버린 것이다.

글로벌화가 달리 글로벌이겠는가. 우리 것이 소중한 것이다. 세계적으로 널리 통용되고 있는 자랑스런 우리의 용어를 전국민이 애용하는 걸 장려하는 것도 모자라 교과서에서 빼달라는 게 전경련의 주장인 것이다. 그건 그만큼 재벌이란 호칭이 캥긴다는 뜻일 게다. 스스로 떳떳하지 못하다면 호칭을 부정할 게 아니라 스스로 캥기는 부분을 드러내는 용기가 필요하다. 비록 용어의 형성사는 부정적이었지만 진정으로 떳떳한 용어가 될 수 있도록 호명 당한 이의 노력하는 자세. 그 작업이 선행돼야 한다.

자신들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씯고자 한다면, 진정으로 사회에서 인정받을 일을 해야 한다. 탑다운 방식의 교육 확대안을 내놓는 걸 보면 아직도 재벌의 버릇을 못 버린 것이다. 더욱이 이번 교육 확대안에선 학교와 방송국과 같은 이데올로기적 기구들을 겨냥했다는 점이 심각하다. 낙하산 인사를 통한 하드웨어 교체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소프트웨어까지 제공하겠다고 취지다. 교과서 논쟁과 같은 치열한 상징자본의 싸움과 그 측면에서 벌어지는 전경련의 교육 사업. 교육계와 방송계에 대한 자본의 편승전략은 치밀하게 진행되고 있다. 결국 공영방송을 공영방송이라 못 부를 때가 되면 재벌을 진정 재벌이라 부르지 못하는 시대가 될지도 모르겠다. 

불행한 사실은 여기서 끝난 게 아니다. 홍길동은 호부호형을 허하지 않는 이땅을 떠났지만, 내겐 그렇게 옮겨갈 율도국조차 없단 사실이 암울할 뿐이다.
Posted by 망명객
8090 서태지 시대의 ‘컴백홈’ (동아일보, 20070517)

90년대 말이었다. 입대를 앞두고 찾은 성대 앞 논장에서 자못 의미심장한 제목의 책을 한 권 발견했다. 정확한 기억은 아니지만 "90년대 대학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나?"가 그 책의 제목이었다. 글쎄, 아직 90년대가 채 끝나기도 전에 너무 이른 성찰이 아닐까 싶었지만, 나름 의미있는 작업이라 생각했다.

세대를 구분짓는 건 단순히 생물학적 연령만이 아니다. 집단적인 기억과 경험이 세대를 구성하는 기본 뼈대. 어느덧 나와 생물학적으로 비슷한 연령대의 사람들이 2007년 8090이란 숫자의 조합으로 호명되고 있다. 호명의 주체는 언제나 그랬듯 미디어의 입을 빈 자본.

물론 세대를 구분짓고 호명하는 마케팅 행위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는다. 돈 벌겠다는 게 나쁜 것도 아닌데 뭘. 다만 아쉬운 건, 그렇게 피동적으로 상업적 호명의 대상이 되어간다는 사실이다. 너무 무력하지 않은가. 물론 호명행위 자체가 타인과의 상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적어도 내 이름은 내가 짓고 싶은 게 사람 마음이다.


'미디어/디지털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는...  (0) 2008.07.31
새 시사저널, 9월의 선택  (0) 2007.07.08
편집권과 노동  (0) 2007.02.10
싸움...  (0) 2006.08.07
CBS의 신문시장 진출  (0) 2006.07.21
Posted by 망명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