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수첩'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09.02.09 CCTV에 맡겨진 치안 공권력 by 망명객
  2. 2008.07.31 1980년 7월 31일 그리고 2008년 7월 31일 by 망명객
한겨레21 박용현 편집장은 '두 가지 죽음'이란 칼럼에서 용산참사와 강호순 사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그는 무고한 죽음이란 결과를 이 두 사건의 공통점으로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공권력의 사각지대에서 벌어진 죽음과 그 치안 공권력의 능동적 작전과정 중 발생한 죽음이란 점을 차이점으로 꼽고 있죠.

이 두 가지 죽음을 다루는 언론의 시선도 크게 다르더군요. 아무래도 강호순 사건에 비해 용산참사가 가해 책임을 두고 더욱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게 당연하겠죠. 아울러 공권력에 대한 보도 태도도 극명히 대비됩니다. 용산참사가 김석기 경찰창장 내정자의 책임 소재 문제에 집중된 반면 강호순 사건과 관련해선 담당 관할서 형사들의 끈질긴 추적과 프로파일러에 관한 내용이 집중 부각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우린 이 두 죽음에서 뉴스 보도가 갖고 있는 한계점들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우선 MBC PD수첩을 통해서야 비로소 부각된 용역직원의 작전 투입 논란이 그렇습니다(관련 포스팅). 모든 방송국이 용산사태 관련 동영상을 갖고 있었지만, 그 안에서 용역직원들이 직접적으로 작전에 투입된 사실을 꼬집은 건 PD저널리즘이었습니다.

  Warning Over UKs Use Of Surveillance Technology

다른 하나는 CCTV를 바라보는 시선입니다. 강호순을 붙잡을 수 있었던 건 CCTV의 도움이었습니다. 이미 몇 차례에 걸쳐 살인사건이 벌어졌지만 치안 공권력의 사각은 그만큼 넓었습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CCTV 및 보안 관련 종목을 주목하라는 증권가의 이야기가 보도되고 있습니다. 치안 공권력의 사각 지대가 사기업의 성장을 돕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더군요. 아울러 CCTV 수를 늘리겠다는 경찰청의 발표도 이어집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문제 제기성 보도는 눈씻고 찾아봐도 보이지 않더군요.

이미 CCTV 설치를 두고 행정편의와 주민감시란 논란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끔찍한 사건 앞에선 감히 CCTV 설치 확대안에 대해 반대 의견을 펼칠 용기가 나지 않더군요. 저널리즘 학자들이 이야기한 '침묵의 나선' 이론은 바로 이런 걸 두고 하는 말일 겁니다.

글쎄요, CCTV가 용산의 망루 안에도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이 또한 용산참사의 결정적 단서가 됐을 겁니다.  이제 치안 공권력이 우리 모두를 지켜줄 수 없다는 건 확실합니다. 더 많은 희생자가 나기 전에 강호순을 붙잡을 수 있었던 건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하지만 그렇게 많은 사람이 무고히 죽기 전에 그를 붙잡지 못한 건 단순히 그가 지능적인 사이코패스였기 때문일까요.

이제 우리는 범죄의 유령에 맞서 CCTV를 설치하고 호신용 무기를 소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부담해야 합니다. 국가의 무능은 고스란히 국민의 부담으로 돌아가게 되어 있죠. 호신용 무기요? 어쩌면 호신용 무기로 화염병을 파는 국가가 될지도 모르겠군요. 아울러 사설 방범업체와 함께 용역직원이 늘어나는 것도 일자리 창출이라 우기는 국가가 될 수도 있습니다.



'똥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옥과 글  (0) 2009.03.26
신문과 사보  (0) 2009.03.25
대학 졸업 = 백수 취임(?)  (1) 2009.02.06
용산 철거민 사망 소식에 대한 단상  (6) 2009.01.20
역대 정권이 빠진 실패의 함정, 독선!  (0) 2008.12.29
Posted by 망명객
28년 전 오늘인 1980년 7월 31일, 동아일보 1면에는 문화공보부가 172개 정기간행물의 등록을 취소한다는 내용이 머리기사로 올랐단다([책갈피 속의 오늘]1980년 정간물 172개 등록취소, 동아일보).

문공부에 의한 대대적인 정간물 등록 취소는 그해 11월에 단행된 언론통폐합의 사전 작업 쯤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지난 7월 17일 YTN 주주총회의 구본홍 사장 선임을 두고 모 정당은 제2의 언론국치일이라 평했다. 1980년 11월의 언론통폐합에 이은 언론국치일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7월 31일, 법원은 MBC PD수첩의 광우병 보도에 대해 '정정 및 반론보도를 하라'고 판결했다. 여기서 PD수첩의 보도 내용에 대해 옳고 그름은 따지지는 않겠다. 다만 몇 년 뒤 오늘의 판결에 대한 역사적 판단이 어떻게 기술될지에 대한 의문만을 제기하겠다.

다시 말머리를 처음으로 돌리자. 동아일보가 28년 전 과거의 사실을 오늘날 다시 환기시키는 건 분명한 의도가 있을 것이다. 헤드라인만 봐서는 과거의 사실과 현재 벌어지고 있는 일련의 사건들을 중첩해 과거로 회귀하는 언론정책을 비판하는 기사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도록 한다. 하지만 헤드라인은 낚시일 뿐. 기사의 요지는 포털과 인터넷 언론의 폐해를 지적할 뿐이다.

과거의 이야기를 전문으로 사용한 건 훌륭하다. 하지만 기사의 요지는 일반 독자들이 요구하는 내용이라기 보다는 동아의 입장인 듯한 냄새를 지울 수 없는 건 왜일까?

'이름을 들어보지도 못한 인터넷 매체'나 동아일보와 같은 유구한 역사의 매체나 포털이나 인터넷에선 그저 동급으로 분류되는 기사일 뿐이다. 갑자기 언론통폐합에서도 살아남았던 동아의 역사로 봤을 때 사이비(?) 언론사들을 처단하고자 했던 과거의 정권이 그리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
참, 7월 31일은 죽산이 죽임을 당한 날이기도 하다.
하나 더, 이청준 선생도...

'미디어/디지털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커뮤니케이션 정책 발행!  (0) 2008.09.21
다사다난한 언론정책  (0) 2008.08.19
뉴스는...  (0) 2008.07.31
새 시사저널, 9월의 선택  (0) 2007.07.08
서태지의 컴백홈을 바라는 건...  (0) 2007.05.17
Posted by 망명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