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외국인근로자센터의 새학기
다문화사회 :
2009. 8. 25. 07:08
지난 23일 성동외국인근로자센터에선 오는 9월 6일 한국어·컴퓨터교실 개강을 앞두고 신입생 접수 행사가 열렸습니다. 본격적인 2학기가 시작된 것이죠. 신입생이나 재학생뿐만 아니라 자원봉사 선생님들 사이에서도 오랜만에 만난 반가움이 넘치는 자리였습니다.
이번 학기에도 전 이주민 학생들에게 워드2003을 가르치게 됐습니다. 전문적인 교육이 아니고 컴퓨터 활용능력 향상 측면의 교육이기에 그리 부담스러운 활동은 아니죠. 지난 학기에 저희 반은 워드 교육과 함께 블로그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방학 중 저희 학생들의 블로그는 잠정 휴면 상태더군요. 아무래도 이번 학기에는 Facebook을 활용한 교육 공동체 형성에 주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좁은 교육장과 1시간 반이란 짧은 교육시간이 컴퓨터 교육의 한계입니다. 접수장에서 만난 이주민들은 컴퓨터를 활용해 본국의 가족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했습니다. 한국 입국 전에 아들이 만들어준 이메일 주소라며 메모지를 내보여주는 중국인 아주머니. 그 분도 고국의 아들과 이메일을 주고받고자 센터 컴퓨터교실을 찾았습니다. 한국어는 이주민들이 이 땅에 살기 위해 필히 익혀야 할 언어입니다. 컴퓨터는 이주민들에게 전화나 서신을 제외한 본국 소식을 접할 수 있는 가장 값이 싼 도구죠.
신입생 접수, 성동외국인근로자센터의 2학기가 시작됐습니다. 재밌고 신나는 2학기를 맞이해야죠.
이번 학기에도 전 이주민 학생들에게 워드2003을 가르치게 됐습니다. 전문적인 교육이 아니고 컴퓨터 활용능력 향상 측면의 교육이기에 그리 부담스러운 활동은 아니죠. 지난 학기에 저희 반은 워드 교육과 함께 블로그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방학 중 저희 학생들의 블로그는 잠정 휴면 상태더군요. 아무래도 이번 학기에는 Facebook을 활용한 교육 공동체 형성에 주력해야 할 것 같습니다.
좁은 교육장과 1시간 반이란 짧은 교육시간이 컴퓨터 교육의 한계입니다. 접수장에서 만난 이주민들은 컴퓨터를 활용해 본국의 가족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했습니다. 한국 입국 전에 아들이 만들어준 이메일 주소라며 메모지를 내보여주는 중국인 아주머니. 그 분도 고국의 아들과 이메일을 주고받고자 센터 컴퓨터교실을 찾았습니다. 한국어는 이주민들이 이 땅에 살기 위해 필히 익혀야 할 언어입니다. 컴퓨터는 이주민들에게 전화나 서신을 제외한 본국 소식을 접할 수 있는 가장 값이 싼 도구죠.
신입생 접수, 성동외국인근로자센터의 2학기가 시작됐습니다. 재밌고 신나는 2학기를 맞이해야죠.
'다문화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친구 '미누' (0) | 2009.10.13 |
---|---|
성동외국인근로자센터 아시안프랜드십 바자회 (0) | 2009.09.30 |
신임 한국관광공사장과 말단 해양경찰관 (0) | 2009.08.10 |
이주민들과 래프팅 (0) | 2009.08.03 |
통역 자원봉사자로 나선 이주민 2세들 (0) | 2009.07.28 |